맨위로가기

도부 이세사키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도부 이세사키선은 일본 도부 철도의 철도 노선으로, 아사쿠사역에서 이세사키역까지 총 114.5km를 운행한다. 궤간은 1067mm의 협궤이며, 55개의 역이 있다. 복복선 구간, 복선 구간, 단선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 구간이 직류 1500V로 전철화되어 있다. 다양한 운행 형태를 제공하며, 특급, 급행, 구간 급행, 준급, 구간 준급,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및 한조몬선, 도큐 덴엔토시선과 상호 직결 운행을 통해 도심 접근성을 높였다. 1899년 기타센주역~구키역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여러 차례 연장 및 전철화 사업을 거쳐 현재의 노선 형태를 갖추게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89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고토쿠선
    고토쿠선은 일본 시코쿠 여객철도가 운영하는 철도 노선으로, 다카마쓰역과 도쿠시마역을 연결하며, 특급 열차 우즈시오와 보통 열차가 운행된다.
  • 1899년 개통한 철도 노선 - 도쿠시마선
    도쿠시마선은 시코쿠 여객철도가 도쿠시마현에서 운영하는 67.5km의 비전철화 단선 철도 노선으로, 1899년 개통 이후 국유화, 노선명칭 변경, 연장 등을 거쳐 현재에 이르렀으며, 특급열차 '켄잔'과 일반 여객열차가 운행되고, 코로나19 이후 이용객 수가 회복세에 있지만 지속적인 영업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 도부 철도의 철도 노선 - 도부 기류선
    도부 기류선은 1911년 610mm 궤간의 손수레 철도로 시작하여 1913년 도부 철도에 인수된 후 1,067mm 궤간으로 개량되어 아사쿠사역과 아카기역을 잇는 료모호와 보통 열차를 운행한다.
  • 도부 철도의 철도 노선 - 도부 사노선
    도부 사노선은 군마현 관린시와 도치기현 사노시를 잇는 도부 철도 노선으로, 석회석 및 목재 운송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철도로 전환 후 도부 철도에 합병되었으며, 현재는 단선 철로에서 특급열차와 보통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 도치기현의 철도 - 와타라세 계곡 철도
    와타라세 계곡 철도는 1989년 개업한 일본의 제3섹터 철도로, 기류역에서 마토역까지 44.1km 구간을 운행하며 적갈색 차체 디자인을 특징으로 한다.
  • 도치기현의 철도 - 도부 사노선
    도부 사노선은 군마현 관린시와 도치기현 사노시를 잇는 도부 철도 노선으로, 석회석 및 목재 운송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철도로 전환 후 도부 철도에 합병되었으며, 현재는 단선 철로에서 특급열차와 보통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도부 이세사키선 - [철도 노선]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노선명도부 이세사키선
일본어 노선명東武伊勢崎線
로마자 표기Tōbu Isesaki-sen
통칭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아사쿠사 역 - 도부 동물공원 역 구간 및 오시아게 역 - 히키후네 역 구간)
노선색#0067c0
노선색2#ed1a3d
노선 기호TS (아사쿠사 역 - 도부 동물공원 역 구간 및 오시아게 역 - 히키후네 역 구간)
TI (도부 동물공원 역 - 이세사키 역 구간)
노선색3오렌지색과 파란색 (아사쿠사 역 - 도부 동물공원 역 구간 및 오시아게 역 - 히키후네 역 구간)
빨간색과 검은색 (도부 동물공원 역 - 이세사키 역 구간)
영업 거리114.5 km
궤간1,067 mm
전철화 방식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방식
최대 경사35 ‰
최소 곡선 반경100 m (아사쿠사 역 부근)
폐색 방식자동 폐색식
보안 장치도부 TSP식 (도부형 자동 열차 정지 장치)
최고 속도110 km/h (특급),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구간은 100km/h
개업일1899년 8월 27일
최종 연장일1931년 5월 25일
소유자도부 철도
운영자도부 철도
차량 기지미나미쿠리하시 차량 관구
역 수55역
노선 정보
노선 종류통근 철도
지역간토 지방
시작역도부 동물공원 역
종착역이세사키 역
노선 길이73.5 km
선로 수복복선 (도쿄 스카이트리/오시아게 역 - 히키후네 역 구간, 기타센주 역 - 기타코시가야 역 구간)
복선 (아사쿠사 역 - 도쿄 스카이트리 역 구간, 히키후네 역 - 기타센주 역 구간, 기타코시가야 역 - 다테바야시 역 구간)
단선 (다테바야시 역 - 이세사키 역 구간)
일일 승객 수843,495명 (2010년)
웹사이트도부 철도 공식 웹사이트
차량사용 차량 항목 참조
주요 역 및 시설
주요 역아사쿠사 역
기타센주 역
가스카베 역
구키 역
다테바야시 역
오타 역
이세사키 역
주요 시설미나미쿠리하시 차량 관구
도부 철도 스기토 공장 (폐쇄)
도부 철도 니시아라이 공장 (폐쇄)
운행 계통
직결 운행 노선도쿄 메트로 한조몬선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도부 닛코선
도부 사노선
도부 기류선
도부 고이즈미선
도큐 덴엔토시선
우쓰노미야선
료모선
지치부 본선
기타 정보
도부 철도 200계 전동차
도쿄 스카이트리를 배경으로 운행하는 "료모" (2018년 11월)
도부 철도 노선도

2. 노선 정보


구분구간거리
단선다테바야시역 - 이세사키역39.9km
복선그 외 구간



기타센주역~동부동물공원역 구간은 대체로 닛코 가도 (국도 4호선)를 따라 건설되었다.[8]

구키역 이남은 도쿄 근교의 통근·통학 노선이며, 도쿄도를 기점으로 하는 관동 대형 사철의 간선·본선 중에서는 유일하게 JR 야마노테선과의 환승역을 가지지 않는다. 기점인 아사쿠사역은 구조적인 이유로 6량 이하의 편성만 입선이 제한되어 터미널 역으로서의 기능이 약하다.[10] 기타센주역에서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7량 편성), 오시아게역에서 도쿄 메트로 한조몬선·도큐 덴엔토시선(10량 편성)과의 직통 운전을 함으로써 도심부로의 편리성과 수송력을 확보하고 있다. 기타센주역이 실질적인 터미널 역으로 기능하고 있으며,[10]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은 도부 철도의 역 중에서도 도조 본선의 기점역인 이케부쿠로역에 이어 많다. 기타센주역~기타고야역까지의 복복선 구간(18.9km)은 일본 사철 최장이다.

동부동물공원역에서 닛코선이 분기하여, 닛코·기누가와 온천 방면으로 직통하는 특급 열차가 아사쿠사역에서 발착하여 관광 노선으로서의 측면도 지닌다. 도쿄-닛코 간 수송에 있어서는, 과거에는 국철(현·JR 동일본)의 도호쿠 본선(JR 우쓰노미야선)·닛코선과 경쟁 관계에 있었지만, 현재는 도부가 우위에 있으며, JR 신주쿠역·이케부쿠로역에서 도부선으로 직통하여 도부 닛코역에 이르는 특급 「닛코」·「(스페이시아)기누가와」의 설정 등, 닛코·기누가와온센 방면의 수송에 있어 양사는 협력 관계에 있다.

료모 지방은 일부 역이 무인역이며, 말단 구간은 로컬선으로서의 측면도 지닌다. 특급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다테바야시역에서 계통 분리가 되어 있으며, 다테바야시역 이북의 모든 일반 열차에서 원맨 운전이 실시되고 있다.[11] 2006년의 다이아 개정 이후, 아사쿠사역~이세사키역 간 전선을 직통하는 열차는 특급「료모」의 1왕복뿐이며, 대부분의 특급「료모」는 오타역에서 기류선으로 직통한다.

라인 컬러는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구간이 파랑, 동부동물공원역 이북이 빨강이다. 각 역의 역명표에는 아사쿠사역~동부동물공원역 구간이 오렌지와 파랑, 동부동물공원역~이세사키역 구간이 빨강과 검정색이 사용되고 있다. 오시아게역은 도쿄 지하철(도쿄 메트로)의 관리역이기 때문에 도부 철도의 라인 컬러는 역 번호의 심볼 마크에만 그치고 있다.


량수구간
10량오시아게역 - 기타센주역 간(히키후네역은 1~4번선, 기타센주역은 1층 승강장 1~4번선)·니시아라이역(3~6번선)·소카역(2·5번선)·신고야역 - 다테바야시역 간(가스카베역은 1~4번선, 다테바야시역은 2·5번선)※단, 히키후네역 1·4번선은 아사쿠사 방면 발착이므로, 히가시무코지마역 - 우시다역 간은 정차 열차의 10량 편성 운용 폐지 및 한조몬선·다엔도시선 직통차 통과 때문에, 니시아라이역·신고야역·고야역의 완행선 승강장은 보통 열차만 발착하므로, 와시미야역 - 다테바야시역 간은 10량 편성 운용 폐지 때문에, 어느 경우든 보통 다이아에서는 8량 편성까지.
8량아사쿠사역(1번선)·도쿄 스카이트리역·고스게역 - 우메지마역 간·다케노쓰카역 - 가모역 간(소카역은 3·4번선)·다테바야시역(3번선)
7량기타센주역(3층 승강장 5~7번선)
6량아사쿠사역(2~5번선)·기타센주역(특급 전용 승강장)·가스카베역(7·8번선: 노다선(도부 어반파크라인) 승강장)·다타라역 - 이세사키역 간(오타역은 1~4번선)※단, 다테바야시역 - 이세사키역 간은 원맨 운전이므로, 특급 「료모」 이외는 8000계 3량 편성으로 운전.
4량다테바야시역(1번선: 사노선 승강장)
3량오타역(7~10번선)
2량히키후네역(5번선: 가메이도선 승강장)·니시아라이역(1·2번선: 다이시선 승강장)·다테바야시역(4번선: 코이즈미선 승강장)·오타역(5·6번선: 키류선코이즈미선 승강장)


3. 운행

도부 이세사키선은 다양한 종류의 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각 열차는 정차역과 운행 구간에 차이가 있다. 2023년 2월 15일 기준 정차역 및 운행 구간은 다음과 같다.


  • 보통(普通) (L): 각역정차 열차로, '각정(各停)'이라고도 불린다.
  • 도부동물공원 - 오타 구간: 1시간에 3회 운행되며, 급행과 환승 가능하다. 구키와 다테바야시 사이에는 1시간에 1회 운행된다.
  • 오타 - 이세사키 구간: 각 방향으로 1시간에 1회 운행되며, 무인 운전으로 운영된다.
  • 구간 준급(区間準急) (SSE): 아사쿠사와 도부동물공원, 구키 또는 닛코 선 미나미쿠리하시 사이를 운행한다.
  • 준급(準急) (SmE): 이른 아침과 늦은 밤에 운행되며, 도부동물공원, 구키 또는 도큐덴엔토시선 주오린칸에서 한조몬 선을 경유하여 닛코 선 미나미쿠리하시까지 운행한다. 10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 구간 급행(区間急行) (SE): 아사쿠사와 도부동물공원, 다테바야시 또는 오타 사이를 운행한다.
  • 급행(急行) (Ex): 아침부터 저녁까지 운행되며, 도부동물공원, 구키(대부분 닛코 선 미나미쿠리하시까지)까지 운행된다. 도큐덴엔토시선 주오린칸에서 한조몬 선을 경유하여 운행하며, 10량 편성이다.
  • 특급(Limited Express) (LE): 좌석 예약 및 요금이 부과되며, 고속 운행한다. 주로 닛코 지역의 케곤일본어(게곤)과 키누일본어(키누)행 닛코 선 직통 열차와 아사쿠사에서 이세사키까지 운행하는 유일한 직통 열차인 료모일본어(료모)가 있다. 70090계 열차는 구키에서 에비스까지 운행하는 홈 라이너 서비스인 TH Liner가 있다.


구키역 이남은 도쿄 근교의 통근·통학 노선 역할을 하며,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7량 편성), 오시아게역에서 도쿄 메트로 반자몬선·도큐 데엔토시선(10량 편성)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통해 도심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동부동물공원역에서는 닛코선이 분기하여, 케곤일본어(「일본어게곤」일본어·「일본어키누」일본어)을 비롯한 닛코·키누가와온센 방면으로 직통하는 특급 열차가 아사쿠사역에서 출발하여 관광 노선 역할도 수행한다.

료모 지방은 일부 역이 무인역이며, 말단 구간은 로컬선으로서의 측면도 지니고 있다. 특급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다테바야시역에서 계통 분리되어 있으며, 다테바야시역 이북의 모든 일반 열차에서 원맨 운전이 실시되고 있다.[11]

3. 1. 운행 형태


역명아사쿠사…히키후네…기타센주…기타카스카베…도부
동물공원…구키…다테바야시…오타…이세사키운행 구간특급1~2회→ 도부닛코・기누가와온센・아이즈타지마0~1회colspan="3" style="text-align:left;"|1회→ 아카기급행츄오린칸←3회colspan="9" style="text-align:left;"|3회→ 미나미쿠리하시보통6회colspan="18" style="text-align:left;"|나카메구로←4회colspan="12" style="text-align:left;"|2회colspan="15" style="text-align:left;"|colspan="14" style="text-align:left;"|3회colspan="9" style="text-align:left;"|colspan="17" rowspan="2" style="text-align:left;"|1회1회colspan="3" style="text-align:left;"|



아사쿠사역을 기점으로 북관동 각 지역을 연결하는 특급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이 중 「료모」·「리버티 료모」는 아사쿠사에서 도부동물공원역 이북으로 직통 운행한다. 「료모」는 기류선아카기역을 기점으로 하지만, 아사쿠사역~이세사키역간 전선을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

그 외, 도부 우츠노미야선 직통의 「시모츠케」가 2020년 6월 5일까지 운행되었으며, 「키리후리」가 2022년 3월 6일까지 설정되어 있었다.

또한, 도부 노다선(도부 어반파크라인)에 직통하는 「어반파크라이너」(아사쿠사역~가스가부역~오미야역·카시와역간)가 운행되었지만, 2024년 3월 15일을 기하여 운행이 중지되었다.

THライナー|TH 라이너일본어는 2020년 6월 6일에 운행을 시작한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직통 유료 좌석 지정 열차이다.

약 10분 간격으로 반자몬선·다엔도시선으로 직통하는 급행(2021년 4월 와토역 - 도부동물공원역 간, 차량은 동부8500계)


급행 열차는 쿠키역·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일부 도부동물공원역) 발착으로, 오시아게역부터 도쿄 메트로 반자먼선에 진입하여, 시부야역을 경유하여 동부철도다엔도시선의 츄오린칸역(일부 나가츠다역)까지 운행되는 열차이다. 히키후네역 - 도부동물공원역 간은 주요 역만 정차한다.

2003년3월 19일의 반자먼선 직통 개시와 동시에 "'''통근 준급'''"으로서 운행을 시작하여, 2006년3월 18일 다이아 개정부터 현행의 "급행"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전 열차가 10량 편성으로, 종일 약 10분 간격으로 운행된다. 주로 소카역센겐다이역에서 완급 접속을 실시한다.

구간급행으로 운행되는 10030형(2019년 8월 니시아라이역 - 타케노즈카역 간)


구간급행은 주로 아사쿠사역 - 칸린역 간 및 니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 간에서 운행된다. 기타센주역 - 도부동물공원역 간에서는 주요 역에만 정차하며, 그 외 구간에서는 각 역에 정차한다.

2017년 4월 21일 개정된 다이어에서는, 하행 열차는 아사쿠사역 기준으로 평일은 5~9시, 16~23시대, 토·공휴일은 5~9시, 21~23시대, 상행 열차는 도부동물공원역 기준으로 평일은 5~9시, 22~23시대, 토·공휴일은 5~9시, 23시대에 운행된다. 기본적으로 6량 편성이지만, 평일 아침 러시 시간대 등에는 8량 편성으로 운행된다.

2006년 3월 17일까지는 “'''준급'''”으로 운행되었으며, 도부 본선의 특별 요금이 필요 없는 속달 열차로서 가장 긴 역사를 가지고 있었다.

2006년 3월 18일 다이어 개정으로 현행의 “구간급행”으로 명칭이 변경되었고, 낮 시간대의 속달 수송을 급행에 넘겨주고 아침 저녁 러시 시간대 중심의 종별이 되면서 운행 편수도 감소되었다.

아침 저녁으로 운행되는 반자몬선·다엔도시선 직통 준급(2018년 10월 고반노역, 차량은 동급 2020계)


준급 열차는 구키역·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일부는 키타고야역·도부동물공원역) 발착으로, 오시아게역부터 도쿄 메트로 반자먼선에 직결 운행되어, 시부야역을 경유하여 도큐 다엔도시선의 츄오린칸역(일부는 나가츠다역)까지 운행되는 열차이다.

오시아게역 - 신고야역 간의 정차역은 급행과 같고, 신고야역 - 구키역·미나미쿠리하시역 간은 각역에 정차한다. 전 열차가 10량 편성이며, 새벽부터 아침 러시아워까지와 심야에 운행된다. 2003년 3월 19일 반자몬선 직결 운행 개시 당시에는 「'''구간 준급'''」으로 평일 러시아워 이외에 운행되었지만, 2006년 3월 18일의 다이어 개정으로 현행의 「준급」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준급(및 구간 준급)이 운행되는 시간대는, 지하철 히비야선과 직결하는 보통 열차의 대부분이 키타고야역 발착이 된다.

아침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운행되는 구간 준급(2024년 1월 남쿠리하시역, 차량은 10000형)


구간 준급 열차는 주로 아사쿠사역 - 도부동물공원역 구간(일부는 구키역・다테바야시역・닛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 발착)에서 운행되는 열차이다.

급행선을 주행하는 기타센주역 - 신코시가야역 간의 정차역은 급행과 같지만, 그 외 구간에서는 각 역에 정차한다. 2013년까지는 낮에도 운행되었지만, 현재는 아침 저녁 러시아워 시간대에 운행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6량 편성이지만, 8량 편성으로 운행되는 경우도 있다.

본 종별은 1997년3월 25일에 운행 개시. 2006년 3월 18일의 다이야 개정부터 한자몬선 직통의 구간 준급이 「준급」으로 명칭 변경되고, 구간 준급은 아사쿠사역 및 기타센주역 발착 전용의 종별이 되었다. 2020년 6월 6일의 다이야 개정으로 오타역 발착이 폐지되어, 다테바야시역 발착으로 단축되었다.

관린역 - 구키역 구간에서 운행되는 10030형(2021년 10월 와시미야역)


보통열차는 주로 아래 구간에서 운행된다. 차내 및 역에서의 안내 방송에서는 각역정차라고 불린다.

위에 포함되지 않는 도부동물공원역 - 구키역 구간(중간 역은 와토역뿐)에서는 특급을 제외한 모든 열차가 종일 각 역에 정차하기 때문에, 보통열차는 매우 적다.

3. 2. 상호 직결 운행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7량 편성), 오시아게역에서 도쿄 메트로 반자몬선·도큐 데엔토시선(10량 편성)과의 상호 직통 운전을 함으로써 도심부로의 편리성과 수송력을 확보하고 있다.

;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 1962년에 직결 운전을 개시. 기타센주역을 경유하여, 니코 선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상호 직결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유료 좌석 보장 열차인 TH 라이너에 한하여 구키역까지 상호 직결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초기부터 18m급 3도어 차량이 운용에 투입되었고, 1990년부터 러시아워 대책으로 5도어 차량이 운용에 투입되었다. 그 후 혼잡 완화와 스크린도어 설치에 따라 2020년까지 전 열차가 20m급 4도어 차량 7량 편성으로 교체되었다. TH 라이너를 제외한 전 열차가 각역정차이며, 기타센주역 - 키타고야역 간의 복복선 구간에서는 안쪽 2선의 완행선을 주행한다.

: --

: 기타센주역을 경유하여 보통열차가 니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에서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 나카메구로역까지 운행된다.

; 도쿄 메트로 반자몬선·도큐 다엔토시선

: 2003년에 직결 운전을 개시. 오시아게역을 경유하여, 구키역니코 선 미나미쿠리하시역까지 상호 직결 운전을 실시하고 있다. 전 열차가 20m급 4도어 차량 10량 편성이지만, 2005년부터 2017년까지는 도큐 차량의 일부에 6도어 차량을 연결한 편성도 운용에 투입되었다. 전 열차가 급행 또는 준급으로 운전되며, 기타센주역 - 키타고야역 간의 복복선 구간에서는 바깥쪽 2선의 급행선을 주행한다.

: --

: 오시아게역을 경유하여 급행·준급 열차가 구키역·니코선 미나미쿠리하시역에서 반자몬선·데엔토시선을 경유하여 츄오린칸역까지 운행된다.

; 키누가와선

: 신후지와라역을 경유하여 특급 「리바티 아이즈」가 아사쿠사역에서 야이와철도 아이즈키누가와선 경유 아이즈철도 아이즈선 아이즈타지마역까지 운행된다. 하루 4왕복 운행되며, 500계가 투입된다. 2017년 4월 21일의 다이어 개정까지는 쾌속·구간쾌속 열차가 운행되었고, 6050계가 투입되었다.

4. 역사

도부 이세사키 선의 첫 구간은 1899년 기타센주 역과 구키 역 사이에 개통되었다. 1902년에는 노선이 남쪽으로 연장되어 현재의 도쿄 스카이트리 역(당시 아즈마바시, 후에 아사쿠사로 개명)에 이르렀고, 북쪽으로는 가조 역까지 연장되었다. 1910년에는 이세사키 역까지 연장되었으며, 1931년 스미다 강을 가로지르는 다리가 건설되면서 현재의 아사쿠사 역(당시 아사쿠사 카미나리몬)이 개통되어 전 노선이 완성되었다.[15][18][19][31][46]

1927년 당시 아사쿠사 역 종착역(현 도쿄 스카이트리 역) 전경


1940년 3월 4량 편성 전동차로 운행되는 도부 이세사키선 쾌속 열차


아사쿠사-니시아라이 구간은 1912년에 복선화되었고, 나머지 구간은 1920년부터 1927년 사이에 복선화되었다. 하뉴-가와마타 구간은 1992년 도네가와(톤 강)에 두 번째 다리가 건설될 때 복선화되었다.[56]

전철화는 1924년 아사쿠사-니시아라이 구간에서 시작되어 1927년 이세사키까지 완료되었다. 당시 100km가 넘는 거리는 긴테쓰 오사카 선과 야마다 선과 함께 가장 긴 전철화 철도 노선 중 하나였다.[38]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도부 철도는 일본국유철도(JNR)의 야마노테 선 등 주요 노선과의 연결이 없어 도쿄 중심부로의 접근성이 좋지 않았다. 1962년 도쿄 메트로 히비야 선과의 연결을 통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했다.[18]

1990년대에는 교통량 증가로 인해 도쿄 메트로 한조몬 선으로 이어지는 두 번째 직통 노선이 건설되었다. 2003년, 히키후네에서 새로운 선로를 건설하여 오시아게 역에 연결했다.[62]

2012년 3월 17일부터 도부 동물공원 역 남쪽 구간은 도부 스카이트리 선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6]

2012년에는 고요하시 역의 화물 터미널 자리에 도쿄 스카이트리 및 도쿄 스카이트리타운이 개업했고,[9] 고요하시 역은 도쿄 스카이트리 역으로 역명을 변경했다.[6]

5. 역 목록

준준
급구
급급
행스
라어
라게
곤료
모리
아기
누접속 노선역간
거리누적
거리소재지TS-01아사쿠사浅草|아사쿠사일본어●rowspan="2" |●rowspan="2" |●●●●●●도쿄 지하철 긴자 선 (G-19)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아사쿠사 선 (A-18)0.00.0도쿄도다이토구TS-02도쿄 스카이트리とうきょうスカイツリー|도쿄 스카이쓰리일본어●●●●●●●●1.11.1스미다구TS-03오시아게押上|오시아게일본어∥●∥●∥∥∥∥∥∥도쿄 지하철 한조몬 선 (Z-14, 직결 운행)
도쿄 도 교통국 지하철 아사쿠사 선 (A-20)
게이세이 전철 오시아게 선 (KS 45)1.31.3TS-04히키후네曳舟|히키후네일본어●●●●││││││가메이도 선 (TS-04)1.32.4
0.0TS-05히가시무코지마東向島|히가시무코지마일본어●│●│││││││rowspan="3" |0.83.2TS-06가네가후치鐘ヶ淵|가네가후치일본어●│●│││││││1.04.2TS-07호리키리堀切|호리키리일본어●│●│││││││1.15.3아다치구TS-08우시다牛田|우시다일본어●│●│││││││게이세이 전철 본선 (게이세이세키야 역, KS 06)0.76.0TS-09기타센주北千住|기타센주일본어●●●●●●●●●●도쿄 지하철 히비야 선 (H-22, 직결 운행)
도쿄 지하철 지요다 선 (C-18)
조반 쾌속선 (JJ 05)
수도권 신도시 철도 쓰쿠바 익스프레스 (TX 05)1.17.1TS-10고스게小菅|고스게일본어││││││││││rowspan="3" |1.18.2TS-11고탄노五反野|고탄노일본어││││││││││1.19.3TS-12우메지마梅島|우메지마일본어││││││││││1.210.5TS-13니시아라이西新井|니시아라이일본어●●●●││││││다이시 선 (TS-13)0.811.3TS-14다케노쓰카竹ノ塚|다케노쓰카일본어││││││││││rowspan="6" |2.113.4TS-15야쓰카谷塚|야쓰카일본어││││││││││2.515.9사이타마현소카시TS-16소카草加|소카일본어●●●●││││││1.617.5TS-17돗쿄다이가쿠마에獨協大学前|돗쿄다이가쿠마에일본어││││││││││1.719.2TS-18신덴新田|신덴일본어││││││││││1.320.5TS-19가모蒲生|가모일본어││││││││││1.421.9고시가야시TS-20신코시가야新越谷|신코시가야일본어●●●●││││││무사시노 선 (미나미코시가야역, JM 22)1.022.9TS-21고시가야越谷|고시가야일본어●●●●││││││rowspan="6" |1.524.4TS-22기타코시가야北越谷|기타코시가야일본어●●││││││││1.626.0TS-23오부쿠로大袋|오부쿠로일본어●●││││││││2.528.5TS-24센겐다이せんげん台|센겐다이일본어●●●●●●││││1.329.8TS-25다케사토武里|다케사토일본어●●││││││││1.331.1가스카베시TS-26이치노와리一ノ割|이치노와리일본어●●││││││││1.933.0TS-27가스카베春日部|가스카베일본어●●●●●●●▲●●노다 선 (TD-10, 직결 운행)2.335.3TS-28기타카스카베北春日部|기타카스카베일본어●●││rowspan="28" |rowspan="28" |││││rowspan="2" |1.536.8TS-29히메미야姫宮|히메미야일본어●●││││││1.638.4미나미사이타마 군미야시로정TS-30도부 도부쓰코엔東武動物公園|도부 도부쓰코엔일본어●●●●▲●││닛코 선 (TS-30, 직결 운행)2.641.0

5. 1. 아사쿠사 - 도부도부쓰코엔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

닛코 가도(국도 4호)를 따라 건설된 구간으로, 2012년에는 고요하시 역의 화물 터미널 자리에 도쿄 스카이트리 및 도쿄 스카이트리타운이 개업하면서 도쿄 스카이트리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다.[9] 노선 애칭인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은 도부 그룹의 상징인 도쿄 스카이트리와 도쿄 스카이트리타운으로 연결되는 노선이라는 데서 유래한다.[6]

구키 역 이남은 도쿄 근교의 통근·통학 노선이며, 도쿄 도를 기점으로 하는 관동 대형 사철의 간선·본선 중 유일하게 JR야마노테선과 환승역이 없다. 기점인 아사쿠사역은 구조적인 이유로 6량 이하 편성만 입선이 가능하여 터미널 역 기능이 약하다.[10] 따라서 도쿄 메트로 히비야선(7량 편성), 오시아게역에서 도쿄 메트로 반자몬선·도큐 데엔토시선(10량 편성)과 상호 직통 운전을 통해 도심 접근성과 수송력을 확보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아사쿠사 역 대신 여러 노선이 만나는 기타센주역이 실질적인 터미널 역으로 기능하며,[10] 하루 평균 승하차 인원은 도부 철도 역 중 이케부쿠로역 다음으로 많다. 기타센주 역~기타고야역 간 복복선 구간(18.9km)은 일본 사철 중 가장 길다.

도부도부쓰코엔역에서 닛코 선이 분기하여, 「게곤」·「기누」 등 닛코·기누가와온센 방면 직통 특급 열차가 아사쿠사 역에서 출발, 관광 노선 역할도 한다. 도쿄-닛코 간 수송 경쟁에서 과거 국철(현 JR 동일본) 도호쿠 본선(JR우쓰노미야선닛코선에 비해 현재 도부가 우위에 있으며, JR신주쿠역·이케부쿠로 역에서 도부 선 직통 「닛코」·「(스페이시아)기누가와」 설정 등 닛코·기누가와온센 방면 수송에 양사 협력 관계가 있다.
히키후네 역 발착의 전 열차를 고요하시 역 발착으로 연장.
아침 러시아워 시 운전되는 상행 준급 열차의 10량 편성 운전 구간을 고요하시 역 - 히키후네 역 간과 도부 동물공원 역 - 타테바야시 역 간에서 확대. 하행은 회송 조치 유지.
평일 다이야의 키타카스카베 역 - 미나미쿠리하시 역 간의 하행 막차를 최대 약 15분 늦춰, 북센주 역 23:52 발로 변경. 종별을 준급으로 변경.
평일 다이야의 키타고시가야 역 - 키타카스카베 역 간의 하행 막차를 최대 약 37분 늦춰, 북센주 역 0:38 발로 변경.
평일 다이야의 타케노즈카 역 - 키타고시가야 역 간의 하행 막차를 약 19분 늦춰, 북센주 역 0:40 발로 변경.
평일 다이야에 아사쿠사 역 0:23 발, 키타카스카베 역행의 준급을 신설. 시발역을 0시대에 출발하는 우등 열차는 이것이 처음.
준급이 신고시가야 역에 정차[59].
구간 준급 신설[59].
낮의 아사쿠사 역 발착의 보통 폐지.
북센주 역의 상행선(지상 승강장)에 인상선 신설, 일부 고요하시 발착 열차를 북센주 발착으로 변경.
소우카 역 발착의 보통 폐지, 고시가야 역 발착으로 변경. 동시에 키타고시가야 역 발착을 새벽·심야 제외 고시가야 역 발착으로 변경.
낮의 히비야 선 직통 열차가 매시 8편으로 증편. 고시가야 역 발착 매시 4편, 도부 동물공원 역 발착 매시 4편.
키타카스카베 역 - 오오부쿠로 역 간의 상행 첫차를 약 7분 앞당겨, 키타카스카베 역 5:00 발로 변경.
키타고시가야 역 - 야니즈카 역 간의 상행 첫차를 약 8분 앞당겨, 키타고시가야 역 5:06 발로 변경.
키타카스카베 역행 하행 막차 종별을 준급에서 구간 준급으로 변경[59]. 오오부쿠로 역, 무사시 역, 이치노와리 역의 하행 막차 최대 약 16분 지연.
고요하시 역 - 타테바야시 역 간 하행 준급 열차와 구간 준급 열차 10량 편성 운전 개시. 동시 저녁 러시아워 시 운전 개시.
토요일을 평일 다이야에서 일요일·휴일 다이야로 변경[59].
쾌속·구간 쾌속 도쿄 스카이트리 역 정차.
도쿄 메트로 히비야 선 상호 직통 운전 구간 니코 선 미나미쿠리하시 역까지 연장.
아침 러시아워 시 구간 급행 8량 편성 단축. 타테바야시 역·북센주 역 증결 작업 및 구키 역 - 타테바야시 역 간 10량 편성 운용 폐지.
낮의 반자몬 선 직통 열차 행선지 변경. 구키 역 발착 매시 4편, 미나미쿠리하시 역 발착 매시 2편.
낮의 히비야 선 직통 열차 운전 구간 연장. 도부 동물공원 역 발착 매시 4편, 미나미쿠리하시 역 발착 매시 2편.
낮의 아사쿠사 역 - 구키 역 간 구간 준급 아사쿠사 역 - 타케노즈카 역 간 보통 강등.
저녁 러시아워 시 니코 선 방면 구간 급행 아사쿠사 역 - 도부 동물공원 역 간 구간 준급 강등.
토휴일 다이야 아사쿠사 역 - 북센주 역 간 하행 막차 약 14분 단축, 아사쿠사 역 0:09 발.
특급 「리버티 키누」·「리버티 케곤」·「리버티 아이즈」·「리버티 료모」 「리버티」500계 전차 운용 개시.
특급 「스카이트리 라이너」·「어반파크 라이너」 신설.
모든 특급 도쿄 스카이트리 역 정차.
쾌속, 구간 쾌속, 1왕복 설정 신토치기 역 발착 구간 급행 폐지. 6050계 아사쿠사 역 진입 종료, 도부 스카이트리 라인(아사쿠사 역 - 도부 동물공원 역 간) 니코 선 미나미쿠리하시 역 이북 진입 특별 요금 불필요 정기 열차 전폐.
도부 동물공원 역 - 구키 역 간 하행 막차 약 17분 지연, 도부 동물공원 역 0:09 발.

참조

[1] 웹사이트 Tobu ridership in 2010 http://www.train-med[...] Train Media (sourced from Tobu) 2012-05-28
[2] 서적 東武鉄道のひみつ PHP研究所 2013-03
[3] 문서 1943年休止、1958年廃止
[4] 문서 列車直通先を下に示す
[5] 문서 1987年廃止。旧中千住駅
[6] 보도자료 伊勢崎線 浅草・押上 ⇔ 東武動物公園間に路線愛称名を導入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誕生 ! 〜 あわせて駅ナンバリングを導入し、よりわかりやすくご案内します 〜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12-02-09
[7] 서적 鉄道要覧 電気車研究会・鉄道図書刊行会 2016
[8] 웹사이트 宿場町の風情を今に残す日光街道沿いの街「北千住~春日部エリア」 http://www.tobu.co.j[...] 2024-01-21
[9] 웹사이트 計画地の歴史 http://www.tokyo-sky[...] 2021-11-07
[10] 웹사이트 【都市鉄道の歴史を探る】スペーシアとロマンスカーが並んだ? 東武の都心直通構想 https://trafficnews.[...] 2018-09-26
[11] 웹사이트 南栗橋~東武宇都宮で直通運転 伊勢崎線・日光線でワンマン運転拡大 東武ダイヤ改正 https://trafficnews.[...] 2021-11-01
[12] 서적 日本のリーダー 7 (実業界の巨頭) ティビーエス・ブリタニカ 1983
[13] 간행물 私設鉄道仮免状及免許状下付 {{NDLDC|2947183/7}} 官報 1896-07-03
[14] 간행물 私設鉄道敷設免許状又ハ仮免状下付 {{NDLDC|2947554/5}} 官報 1897-09-20
[15] 간행물 運輸開業免許状下付 {{NDLDC|2948141/5}} 官報 1899-08-31
[16] 간행물 仮停車場設置 {{NDLDC|2948231/3}} 官報 1899-12-19
[17] 간행물 仮停車場設置 {{NDLDC|2948308/4}} 官報 1900-03-24
[18] 간행물 運輸開始 {{NDLDC|2948925/22}} 官報 1902-04-05
[19] 간행물 運輸開始 {{NDLDC|2949061/8}} 官報 1902-09-11
[20] 간행물 運輸開始 {{NDLDC|2949250/16}} 官報 1903-04-28
[21] 간행물 停車場開始 {{NDLDC|2949372/7}} 官報 1903-09-16
[22] 간행물 私設鉄道株式会社本免許状下付 {{NDLDC|2949908/22}} 官報 1905-06-02
[23] 간행물 停車場閉鎖 {{NDLDC|2949936/14}} 官報 1905-07-05
[24] 간행물 運輸開始並停車場位置変更 {{NDLDC|2950610/5}} 官報 1905-09-13
[25] 간행물 運輸開始 {{NDLDC|2950755/19}} 官報 1908-03-10
[26] 간행물 停車場廃止 {{NDLDC|2950784/12}} 官報 1908-04-15
[27] 간행물 停車場廃止 {{NDLDC|2950911/8}} 官報 1908-09-10
[28] 간행물 停車場廃置 {{NDLDC|2951007/11}} 官報 1909-01-08
[29] 간행물 運輸開始 {{NDLDC|2951046/6}} 官報 1909-02-24
[30] 간행물 停車場改称 {{NDLDC|2951358/5}} 官報 1910-03-05
[31] 간행물 運輸営業開始 {{NDLDC|2951382/9}} 官報 1910-04-04
[32] 간행물 運輸開始並哩程更正 {{NDLDC|2951475/5}} 官報 1910-07-20
[33] 간행물 軽便鉄道指定 {{NDLDC|2953807/15}} 官報 1918-03-29
[34] 간행물 地方鉄道停車場名改称 {{NDLDC|2954315/10}} 官報 1919-12-05
[35] 간행물 地方鉄道停車場設置 {{NDLDC|2954437/6}} 官報 1920-05-04
[36] 간행물 地方鉄道営業哩程変更 https://ndlc.ndl.go.[...]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3-06-26
[37] 간행물 地方鉄道駅名改称 https://ndlc.ndl.go.[...]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4-09-06
[38] 간행물 地方鉄道駅設置 https://ndlc.ndl.go.[...]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4-10-09
[39] 간행물 地方鉄道駅設置 https://ndlc.ndl.go.[...]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5-08-01
[40] 간행물 地方鉄道駅設置 https://ndlc.ndl.go.[...]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5-10-23
[41] 간행물 地方鉄道駅設置 https://ndlc.ndl.go.[...]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5-11-21
[42] 간행물 地方鉄道駅設置 https://ndlc.ndl.go.[...]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26-10-15
[43] 서적 東京府統計書 https://ndlc.ndl.go.[...] 東京府 1933-02-25
[44] 보고서 昭和45年度運輸白書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19-12-21
[45] 뉴스 東武鉄道 複々線区間 私鉄最長に 交通新聞社 1988-07-27
[46] 간행물 地方鉄道運輸開始 https://ndlc.ndl.go.[...] 国立国会図書館デジタルコレクション 1931-06-04
[47] 간행물 地方鉄道、軌道事業の現況並に異動 https://ndlc.ndl.go.[...] 日本電気協会 1937-04
[48] 뉴스 伊勢崎線曳舟-鐘ヶ淵間を高架運転 交通協力会 1967-02-21
[49] 학술지 2月のメモ帳 電気車研究会 1967-04-01
[50] 뉴스 ATS装置の使用開始 来月から関東の四私鉄が 交通協力会 1968-03-27
[51] 뉴스 二日から使用開始 交通協力会 1974-06-30
[52] 뉴스 単線高架を使用 東武鉄道 伊勢崎線東武和泉-韮川間 交通協力会 1980-07-27
[53] 뉴스 下りも高架化 東武伊勢崎線 草加駅-綾瀬川間 交通新聞社 1988-12-03
[54] 뉴스 東武伊勢崎線 25日から輸送力大幅増強 私鉄最長の複々線誕生 交通新聞社 1997-03-04
[55] 뉴스 東武伊勢崎線の複々線化完成 交通新聞社 2001-04-02
[56] 뉴스 東武鉄道羽生-川俣間 来月21日から複線化 利根川橋梁 線増工事が完成 交通新聞社 1992-08-18
[57] 뉴스 越谷地区の下り高架複々線化 10月8日から使用 東武鉄道 交通新聞社 1993-08-17
[58] 뉴스 東武伊勢崎線複々線・立交化 3駅を高架駅に 来月2日上り線も 交通新聞社 1994-10-24
[59] 웹사이트 平成9年3月25日(火)伊勢崎線・日光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北千住駅改良工事と草加?越谷間高架複々線が完成 新たに区間準急列車を設定し、お客様の利便が向上 下り特急・急行列車の北千住停車と定期券での乗車を実施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プレスリリース 1996-12-19
[60] 웹사이트 平成11年3月16日(火)伊勢崎線・日光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急行りょうもう号がスピードアップし、特急「りょうもう号」に 特急スペーシアの一部が春日部に停車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プレスリリース 1998-12-09
[61] 웹사이트 民鉄最長となる北千住〜北越谷間19.0 kmの複々線が完成 伊勢崎線の複々線(越谷〜北越谷間)が完成 完成に伴いダイヤ改正を実施 特急スペーシアの一部が栃木に停車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00-12-13
[62] 웹사이트 平成15年3月19日(水)(予定)、大手町・渋谷へ直通する準急列車運転開始 東武伊勢崎線・日光線、営団半蔵門線、東急田園都市線(南栗橋〜中央林間)の相互直通運転開始にともない、ダイヤ改正および特急・急行料金の値下げを実施します 都心へ乗り換えなしの新ルート誕生で、所要時間が大幅短縮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02-12-10
[63] 웹사이트 より便利に より快適に 3月18日 伊勢崎線・日光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05-12-16
[64] 웹사이트 6月6日(土) 伊勢崎線・日光線でダイヤ改正を実施 〜特急列車と地下鉄直通列車の増発で都心方面とのアクセスを向上します〜 https://web.archive.[...] 東武鉄道プレスリリース 2009-04-10
[65] 보도자료 押上駅に副駅名「スカイツリー前」を導入し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12-02-09
[66] 보도자료 3月16日(土)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伊勢崎線・日光線 ダイヤ改正 東京メトロ日比谷線との相互直通運転区間を南栗橋まで延伸するなど運行体系が変わります!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3-02-14
[67] 학술지 ~下り急行線高架化による事業効果について~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7-01
[68] 웹사이트 東武鉄道、松原団地駅の改称は4月1日に…新駅名は「獨協大学前」 http://response.jp/a[...] 2017-01-26
[69] 보도자료 2017年4月21日(金) ダイヤ改正を実施!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伊勢崎線・日光線・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 【特急列車概要】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17-01-18
[70] 보도자료 2017年4月21日(金) ダイヤ改正を実施!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伊勢崎線・日光線・鬼怒川線など 【特急列車以外の一般列車】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17-02-28
[71] 보도자료 2020年6月6日(土)東武鉄道・東京メトロダイヤ改正 東武線・日比谷線相互直通列車に初の座席指定制列車「THライナー」が誕生!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19-12-19
[72] 보도자료 2020年6月6日(土) ダイヤ改正を実施!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伊勢崎線・日光線・東武アーバンパークライン【特急列車・THライナー・SL大樹概要が決定】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0-02-25
[73] 보도자료 2020年6月6日(土) ダイヤ改正を実施!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伊勢崎線・日光線・鬼怒川線など【一般列車に関するお知らせ】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0-05-11
[74] 잡지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 竹ノ塚駅付近の上り急行線高架化区間の使用を開始しました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0-10-01
[75] 보도자료 終電付近の一部列車運転取りやめについて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1-01-13
[76] 보도자료 2021年3月13日(土)に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1-01-26
[77] 보도자료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伊勢崎線・日光線等にて2022年3月12日(土)ダイヤ改正を実施します~ご利用状況を踏まえた運転本数の見直しや最終列車の繰り上げ等を実施し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1-12-10
[78] 보도자료 2022年3月20日(日)から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竹ノ塚駅付近(西新井~谷塚間)上下緩行線高架区間の使用を開始します 踏切2か所を廃止、安全性が向上し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1-12-22
[79] 보도자료 2022年11月27日(日)より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 とうきょうスカイツリー駅付近 上り線高架区間の使用を開始します 〜上りホームの使用を同日開始し、改札口の位置も変わり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2-10-03
[80] 보도자료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 とうきょうスカイツリー駅付近 下り線高架区間の使用を開始し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4-12-03
[81] 웹사이트 THE GATE HOTEL by HULIC https://www.gate-hot[...] 2021-05-31
[82] 서적 旅客営業規則 https://www.tobu.co.[...] 東武鉄道
[83] 웹사이트 特急列車の一部運休について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0-04-21
[84] 웹사이트 6月6日(土) ダイヤ改正に合わせ、一部運休していた特急列車の運転を再開します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0-05-28
[85] 웹사이트 和戸 {{!}} 東武伊勢崎線 {{!}} 浅草方面 時刻表 - NAVITIME https://www.navitime[...]
[86] 서적 東武時刻表 東武鉄道 1988-10
[87] 뉴스 東武鉄道、日光方面の快速・区間快速を廃止 4月21日ダイヤ改正 https://response.jp/[...] 株式会社イード 2017-02-28
[88] 웹사이트 GWに臨時列車を運転します。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7-04-25
[89] 서적 超!探求読本 誰も書かなかった東武鉄道 河出書房新社 2021
[90] 보도자료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東京メトロ日比谷線直通 新型車両「70000系」7月7日(金)より運行開始します!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7-06-22
[91] 웹사이트 来年で”還暦”の日比谷線 車両更新は完了し、ただいま激変中 https://dot.asahi.co[...] AERA 2020-04-21
[92] 웹사이트 東武70090形営業運転を開始 https://railf.jp/new[...] 交友社
[93] 보도자료 東武線・東京メトロ日比谷線相互直通列車に有料着席サービスを新たに導入します!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9-03-26
[94] 웹사이트 (お知らせ)8500系8637Fの運用離脱に伴う回送完了について https://www.tokyu.co[...] 東急電鉄 2023-01-25
[95] 웹사이트 東武スカイツリーライン・伊勢崎線・日光線・日比谷線直通・半蔵門線直通|女性専用車両|東武鉄道 https://www.tobu.co.[...]
[96] 보고서 最混雑区間における混雑率(令和5年度) https://www.mlit.go.[...] 国土交通省 2024-08-02
[97] 웹사이트 朝の混雑ピーク時間帯を避けた通勤・通学にご協力お願いいたします http://www.tobu.co.j[...] 東武鉄道
[98] 웹사이트 東武鉄道 平成20年度1日平均乗降人員・通過人員 https://www.train-me[...] 関東交通広告協議会
[99] 서적 都市交通年報
[100] 웹사이트 公共交通関係データ集 https://www.pref.sai[...]
[101] 웹사이트 民鉄線ラッシュ時1時間当たりの旅客輸送状況(令和4年度) https://www.pref.sai[...] 埼玉県
[102] 웹사이트 資料1(路線整備の意義・必要性等の整理) https://www.pref.sai[...] 埼玉県 2011-07-29
[103] 웹사이트 地域の復権―東京一極集中を越えて(昭和62年9月) http://www.pref.kana[...] 神奈川県 1987-09
[104] 문서 とうきょうスカイツリー駅と押上駅は同じ駅としてみなされる。ただし改札内乗り換えはできない。
[105] 웹사이트 2024年度の鉄道事業設備投資計画 https://www.tobu.co.[...] 東武鉄道 2024-04-30
[106] PDF 「東武グループ中期経営計画 2017〜2020」の策定について http://www.tobu.co.j[...] 東武鉄道 2017-04-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